본문 바로가기

통계 이론

002. 척도의 종류에 따른 통계분석 방법

1. 척도의 개념

https://r-statistic.tistory.com/4

 

001. 척도의 개념

1. 척도의 개념 관측 대상의 속성을 측정하여, 그 값이 숫자로 나타나도록 일정한 규칙을 정하여 바꾸는 도구 2. 척도의 종류 2. 1 명목척도 : 측정 대상이 어느 집단에 속하는지 나타내는 자료

r-statistic.tistory.com

 

2. 자료의 특성별 통계분석 방법

다양한 통계적 추정과 검정이 있는데, 각각은 추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적변수(= 질적척도)와 양적변수(= 양적척도)는 전장에서 다뤄봤지만, 공변수는 처음 보시죠?

공변수를 다루기 앞서, 공분산분석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공분산분석은 분산분석(ANOVA)과 회귀분석(Regression)을 합친 분석방법입니다.

 

3. 공변수(= 공변량, covariate)

공변수란 "공분산분석"에 필요한 변수 중 하나로,  독립변수와 기타 잡음인자들이

공유하는 변량을 의미합니다. 즉, "통제해야 할 오차"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공변수는 독립변수 이외에 실험결과 (종속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잡음인자를 분석자가 통제하고자 하는 변량입니다.

만약 공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공변수를 분석 모형에서 제거한다고 해도 결과에 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공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준다면 분석자가 통계적으로 공변수를 통제해야 합니다.

리하여 종속변수에 주는 영향력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