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이론

004. 공정능력의 간단한 개념 - 1차

1. 공정능력의 개념

고객의 요구사항 또는 규격(KS 기준)에 맞게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 한 것입니다.

 

2. 공정능력의 평가

     2-1. 상한선(USL: Upper Specification Limit), 하한선(LSL: Lower Specification Limit)의 개념

             가. 예시

                    우리 회사가 옷을 만드는 회사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가슴사이즈,  어깨 너비 등 사이즈가 각기 다르겠지만 쉬운 이해를 위해 95, 100 으로 통일하겠습니다

                    고객, 또는 KS 규격에는 정확히 명시된 요구사항이 있죠. (95 사이즈, 100 사이즈) 

                    이런 명시된 요구사항을 우리 회사의 규격 중심(Nominal)이라고 타겟을 잡습니다.

                    하지만, 규격 중심인 95 사이즈를 정확히 생산해내기란 쉽지 않죠. 93을 생산할수도 있고, 96을 생산할 수 도 있습니다.

                   그래서 고객 또는 KS 기준에는 규격 중심으로부터 어느정도의 허용치를 선정합니다. 

             나. 정리

                   고객이나 KS 기준이 제시하는 기준을 규격 한계(Tolerance Limit, Specification Limit) 라고 합니다.

                   이 규격 한계에는 어느정도의 허용치가 포함되므로 최소 허용치를 LSL(Lower Specification Limit)라고 부르고

                   최대 허용치를 USL(Upper Specification Limit) 이라고 부릅니다. 

 

3. 마치며

Cp, Pp에 대한 계념은 2편에 하겠습니다.

Cpk, Ppk에 대한 개념은 3편에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