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10)
007. 시그마 (= σ, 표준편차) 1. 68-95-99.7 규칙 정규분포를 나타내는 규칙으로, 평균에서 양쪽으로 3표준편차 범위에 거의 모든 값(99.7%)들이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출처: https://www.bartleby.com/questions-and-answers/areas-under-the-curve-for-any-normal-distribution-99.7percent-95.4percent-68.3percent-m-30-h-lo-lo-m/260e5ca3-a4ad-4c09-ac70-04afa872f8da) 가. 약 68.3%의 값들이 평균에서 양쪽으로 1 표준편차 범위(μ±1σ)에 존재한다. 나. 약 95.4%의 값들이 평균에서 양쪽으로 2 표준편차 범위(μ±2σ)에 존재한다. 다. 거의 모든 값들(실제로는 99.7%..
006. 공정능력의 간단한 개념 (Cpk, Ppk) - 3차 1. Cp, Pp의 정의 https://r-statistic.tistory.com/11?category=863070 2. Cpk, Ppk의 정의 2-1. k의 의미 k는 일본어로 치우침을 뜻하는 katayori의 앞글자를 따온 것 입니다. Cp, Pp에다가 치우침(k)까지 보는 것을 Cpk, Ppk라고 합니다. 2-1. 예시 : 상한선(USL)과 하한선(LSL)의 개념 : https://r-statistic.tistory.com/7?category=863070 회사 A의 산포가 회사 B보다 적죠. (가로 길이) 그러므로, 일관된 생산성은 회사 A가 회사 B보다 탁월합니다. 하지만 회사 A의 경우, USL 을 넘어가는 제품을 적은 확률이나마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바로 이게 문제입니다. 산포를 적게 생산해내..
005. 공정능력의 간단한 개념 (Cp, Pp) - 2차 1. 단기 vs 장기 (Short term vs Long term) 데이터 1-1. Term의 의미 단기와 장기를 나누는 기준은 기간이 아니라 조건입니다. 조건에 따라 공정 능력을 평가한 데이터에 의해 단기와 장기 데이터로 나누어 집니다. 1-2. 예시 가. 5명의 학생들에게 수학문제를 풀게 해서 얼마나 많이 맞출 수 있는지 보고자 할 때 사람마다 맞추는 문제는 각각 다를겁니다. 한 학생은 1문제만 맞출 것이고 다른 학생은 전부 맞출 수도 있겠죠. 사람마다 다른 이유는 그 사람이 가지는 특성 때문입니다. 다 틀린 학생은 문과생이고 다 맞춘 학생은 이과생이겠죠 그런걸 "변수" 라고 합니다. 우리가 롤(LOL)을 할 때 아 이건 변수인데? 이건 변수다.. 할 때 그 변수가 맞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 이 5명..
003. 데이터 타입 (스칼라) 1. 스칼라(Scalar) ㆍ스칼라는 '가', '나', '다'와 같은 일차원의 값을 의미한다. R의 기본 데이터 타입은 벡터(vector)인데, 스칼라는 길이가 1인 벡터와 같다. ㆍ스칼라에는 숫자, 문자, 논리, 팩터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가. 숫자형(numeric) ㆍ정수, 실수, 복소수 등의 숫자 데이터는 숫자형 데이터에 해당한다. ㆍ수학적 연산 및 통계적 계산이 가능하다. ㆍ숫자형 벡터에 문자가 하나라도 포함되면 벡터 전체가 문자형으로 변환된다. ㆍ아래의 R 코드와 같이 새로운 변수에 대입 연산자(
002. R 기초 중의 기초 1. 변수 생성 가. R에서는 변수명을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면 데이터타입을 스스로 인식하고 선언한다. 나.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대입연산자 ( )를 사용하지만, a, 3->>a = 오른쪽 값을 왼쪽으로 대입 a=3
001. R 다루기 1. 패키지 사용하기 함수, 데이터, 컴파일된 코드의 모음을 패키지(package)라고 하며, R은 다양한 분석기능과 알고리즘을 지원하는 방대한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다. 패키지는 설치와 로드의 과정을 거친 후 사용이 가능하다. 기능 함수 R Code 예시 패키지 설치 install.packages("패키지명") install.packages("dplyr") 패키치 로드 library(패키지명) library(dplyr) 패키지 업데이트 update.packages("패키지명") update.packages("dplyr") 설치된 패키지 목록 확인 search() search() 2. 스크립트 다루기 기능 단축기 / R Code R Code 실행 한줄 실행 : Ctrl + R 혹은 F5 여러 줄 실행 : ..
004. 공정능력의 간단한 개념 - 1차 1. 공정능력의 개념 고객의 요구사항 또는 규격(KS 기준)에 맞게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 한 것입니다. 2. 공정능력의 평가 2-1. 상한선(USL: Upper Specification Limit), 하한선(LSL: Lower Specification Limit)의 개념 가. 예시 우리 회사가 옷을 만드는 회사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가슴사이즈, 어깨 너비 등 사이즈가 각기 다르겠지만 쉬운 이해를 위해 95, 100 으로 통일하겠습니다 고객, 또는 KS 규격에는 정확히 명시된 요구사항이 있죠. (95 사이즈, 100 사이즈) 이런 명시된 요구사항을 우리 회사의 규격 중심(Nominal)이라고 타겟을 잡습니다. 하지만, 규격 중심인 95 사이즈를 정확히 생산해내기란 쉽지 않죠. 93을 ..
003. 검정, 교정, 보정이란? 1. 검정 (Verification) 상거래를 계량에 의하여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특정계량기에 대하여 국가공권력으로 강제검사를 하는 제도 (18종) (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11조)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도, 전기, 가스, 열량, 난방용 기름 등 사용량을 계량하는 수도 미터, 전력량계, 가스미터, 열량계, 오일미터 등은 표시된 사용량 만큼 요금을 부과하게 되므로 엄격한 검사와 허용오차 등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검정결과는 합격한 계량기에 대하여 검정증인으로 합격표시를 하며, 별도의 검정성적서는 없습니다. 검정확인서 (검정 성적이 아닌 검정 수량과 합격 수량 등만 표기하는 확인서 형태)로 갈음하고 있습니다. 2. 교정 (Calibration) 국가측정표준기관으로부터 소급성이 유지된 표준기를 사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