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p, Pp의 정의
https://r-statistic.tistory.com/11?category=863070
2. Cpk, Ppk의 정의
2-1. k의 의미
k는 일본어로 치우침을 뜻하는 katayori의 앞글자를 따온 것 입니다.
Cp, Pp에다가 치우침(k)까지 보는 것을 Cpk, Ppk라고 합니다.
2-1. 예시 : 상한선(USL)과 하한선(LSL)의 개념 : https://r-statistic.tistory.com/7?category=863070
회사 A의 산포가 회사 B보다 적죠. (가로 길이)
그러므로, 일관된 생산성은 회사 A가 회사 B보다 탁월합니다.
하지만 회사 A의 경우, USL 을 넘어가는 제품을 적은 확률이나마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바로 이게 문제입니다.
산포를 적게 생산해내는 능력 = Cp
산포를 적게 생산해내는 능력 + 고객이 요구하는 기준값 (규격 중심)에 치우침 까지 반영한 능력 = Cpk
회사 A의 경우, 규격중심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죠.?
즉, 회사 A의 Cp값은 높지만 Cpk값은 낮게 나올것이고
회사 B의 Cp값은 회사 A보다는 낮겠지만, Cpk는 회사 A보다 높을 것 입니다.
따라서 공정능력을 단순히 "Cp , Pp"로만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치우침까지 고려해야 정확한 공정능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마치며
"시그마" 에 대한 개념 다음편에 이어서 하겠습니다.
'통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7. 시그마 (= σ, 표준편차) (0) | 2021.06.08 |
---|---|
005. 공정능력의 간단한 개념 (Cp, Pp) - 2차 (0) | 2021.06.08 |
004. 공정능력의 간단한 개념 - 1차 (0) | 2021.05.27 |
003. 검정, 교정, 보정이란? (0) | 2021.05.25 |
002. 척도의 종류에 따른 통계분석 방법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