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계 프로그램/R

002. R 기초 중의 기초

1. 변수 생성

    가. R에서는 변수명을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면 데이터타입을 스스로 인식하고 선언한다.

    나.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는 대입연산자 ( <-, <<-, =, ->, ->>)를 사용하지만, <<- 연산자는 전역변수에 값을 할당할 떄 사용하므로 <- 연산자의 사용을 가장 권장한다.

 

2. 변수명 규칙

   가. 변수명에는 알파벳, 숫자, _(언더스코어), .(마침표)를 사용할 수 있다.

   나. 첫 글자는 마침표 혹은 알파벳으로 시작이 가능하며, 마침표로 시작할 경우 마침표 뒤에는 숫자가 올 수 없다.

   다. -(하이픈)은 변수명에 사용할 수 없다.

       ※올바른 변수명 ex) x, y, abc_1, efg.2

       ※잘못된 변수명 ex) 1a, .3, x-y

 

3. R의 기초 연산자

연산자 우선순위 표현방법 및 설명
^ 지수 5^2
+, - 단항 플러스와 마이너스 부호 +3, -5
: 수열 생선 1:30
%any% 특수 연산자 %/% : 나눗셈의 몫
%%  : 나눗셈의 나머지
%*% : 행렬곱
*, / 곱하기, 나누기 2*5, 10/2
+, - 더하기, 빼기 5+2, 5-3
== 좌우의 값이 같은지 비교하여 
TRUE/FALSE 로 반환
3==5
!=, <> 좌우의 값이 다른지 비교하여
TRUE/FASLE로 반환
3!=5
3<>5
>=, <=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를 비교하여
TRUE/FALSE로 반환
3<=5
! 논리 부정 !(3==4)
&,&& 논리 AND & : 논리 연산 데이터 하나 이상인 경우에 사용
&& : 논리 연산 데이터가 하나인 경우에 사용
|. || 논리 OR | : 논리 연산 데이터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사용
|| : 논리 연산 데이터가 하나인 경우에 사용
~ 식(formula) 종속변수1+종속변수2...~독립변수1+독립변수2+독립변수3...
->, ->> 왼쪽 값을 오른쪽으로 대입 3->a, 3->>a
= 오른쪽 값을 왼쪽으로 대입 a=3
<-, <<- 오른쪽 값을 왼쪽으로 대입 a<-3, a<<-3

 

4. 함수 내 인자 호출

R에서 함수를 사용할 때, 인자의 이름과 위치로 인자값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abc라는 함수에는 x, y, z라는 인자가 있다고 해보자.

abc(x, y, z=TRUE)

가. 여기서 인자 z는 TRUE라는 기본값이 이미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생략이 가능하며, 특정한 인자값을 지정해주지 않으면 기본값인 TRUE가 적용된다.

나. 우리는 x인자값은 10, y인자값은 1, z인자값은 TRUE로 지정하여 abc함수를 사용하고 싶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아래와 같은 구문들을 사용할 수 있다.

①abc(x=10, y=1, z=TRUE)

②abc(10, 1, TRUE)

③abc(10, y=1)

다. ①번 구문과 같이 인자명을 모두 명시할 수 있으며, ②번 구문과 같이 인자명을 생략한 채 인자의 위치에 맞게 인자값만 지정한 형태로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③번과 같이 인자명을 지정하는 방법과 abc함수의 첫 번째 인자가 x라는 것을 이용해 인자명(x)를 생략하고 바로 인자값(10)을 지정하는 방법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③번의 경우에는 z인자를 생략했으므로 기본값인 TRUE가 적용된다.

'통계 프로그램 > R'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3. 데이터 타입 (스칼라)  (0) 2021.06.05
001. R 다루기  (0) 2021.06.05